조대현 (법조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대현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부여 출신으로 용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대학원 재학 중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판사로 임용되었다. 판사 재직 중 판결문 간결하게 쓰기 운동을 주도했으며, 호적제도 개선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2004년 변호사로 개업한 후, 2005년 열린우리당 추천으로 헌법재판관에 임명되어 2011년까지 재직했다. 헌법재판소 재판관 퇴임 후에는 법무법인 화우의 고문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 김희옥
김희옥은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서 법무부 차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하고 동국대학교 총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KBL 프로농구연맹 총재, 한국프로스포츠협회 회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자, 스포츠인,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 조한창
조한창은 현재 정보 부족으로 인해 상세한 이력, 활동, 업적 등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 부여군 출신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부여군 출신 - 정한모
정한모는 1955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문화공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다수의 시집과 학술서 저술, 남북 문학 통합 기여, 여러 문학상 수상 등의 활동을 했다. - 용산고등학교 동문 - 차지철
차지철은 5·16 군사 정변에 가담하여 정계에 입문한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국회의원을 지내다 박정희 대통령 경호실장으로 재직하며 권력 남용으로 비판받았고 10·26 사건 때 김재규에게 살해당했다. - 용산고등학교 동문 - 노건일
노건일은 용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은 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 충청북도지사, 내무부 차관, 교통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인하대학교, 명지대학교, 한림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 조대현 (법조인) | |
|---|---|
| 일반 정보 | |
| 이름 | 조대현 |
| 본명 | (알 수 없음) |
| 출생일 | 1951년 2월 11일 |
| 출생지 | 충청남도 부여 |
| 사망일 | (알 수 없음) |
| 국가 | (알 수 없음) |
| 근무 기간 | (알 수 없음) |
| 현직 | (알 수 없음) |
| 전직 | 헌법재판소 재판관,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
| 거주 | (알 수 없음) |
| 거주 기간 | (알 수 없음) |
| 입사일 | (알 수 없음) |
| 입사명 | (알 수 없음) |
| 퇴사일 | (알 수 없음) |
| 퇴사명 | (알 수 없음) |
| 소속 | (알 수 없음) |
| 별명 | (알 수 없음) |
| 펜클럽 | (알 수 없음) |
| 수상 | (알 수 없음) |
| 학력 | |
| 학력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
| 경력 | |
| 경력 | (알 수 없음) |
| 배우자 | (알 수 없음) |
| 종교 | (알 수 없음) |
| 가족 | (알 수 없음) |
| 등단 | (알 수 없음) |
| 사이트 | (알 수 없음) |
2. 생애
서울대학교 졸업 후 단국대학교 대학원 재학 중 제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판사가 되었다.[1] 배우자는 언주중학교 교장 서외순이며, 슬하에 쌍둥이 아들을 두고 있다. 두 아들 모두 변호사로 활동 중이다.[2]
판사 재직 당시 '판결문 간결하게 쓰기' 운동을 주도하였다. 2002년 10월, '21세기 가족의 전망과 호적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토론회'에서 "호적제의 목적은 국민의 신분기록을 장부에 공시하는 것인데, 호주와 가족 간의 관계를 나타낼 필요가 없다면 가족 단위보다는 개인별로 편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개인별 신분등록제도를 제안했다.[3][4]
2004년 변호사로 개업하였고, 2005년 열린우리당 추천으로 헌법재판관에 임명되었다.[4][5]
2. 1. 출생과 성장
1951년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태어났다. 용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고, 단국대학교 대학원 재학 중 1975년 제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판사가 되었다.[1]2. 2. 학창 시절
용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진학했다. 1973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1975년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2. 3. 법조인 생활
1975년 제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1] 1980년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를 시작으로 1988년 서울고등법원 판사, 1991년 대구지방법원 김천지원장, 1994년 사법연수원 교수를 역임했다.[1] 1999년에는 대법원장 비서실장과 대전고등법원 부장판사를, 2000년에는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역임했다.[1] 2004년 법무법인 화우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다가,[4] 2005년 열린우리당 추천으로 헌법재판소 재판관에 임명되어[5] 2011년까지 재직했다. 헌법재판소 재판관 퇴임 후에는 법무법인 화우 고문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1]판사로 재직할 당시 '판결문 간결하게 쓰기' 운동을 주도하였다. 2002년 10월, '21세기 가족의 전망과 호적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토론회'에서 "호적제의 목적은 국민의 신분기록을 장부에 공시하는 것인데, 호주와 가족 간의 관계를 나타낼 필요가 없다면 가족 단위보다는 개인별로 편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개인별 신분등록제도를 제안했다.[3][4]
2. 4. 가족 관계
배우자는 서울 언주중학교 교장 서외순이며, 슬하에 쌍둥이 아들을 두고 있다. 두 아들 모두 변호사로 활동 중이다.[2]3. 판사 재임 시절
사법연수원 7기로, 노무현 전 대통령, 정상명 전 검찰총장, 김능환 전 대법관, 안대희 전 대법관, 김종대 전 헌법재판관과 동기이다. 대법원장 비서실장,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역임하였다.
4. 헌법재판소 재판관 시절
노무현 대통령의 선거중립 의무 준수 요청에 대한 헌법소원 심판에서 '노 대통령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 것'이라는 소수 의견을 밝혔다.[1] 종합부동산세 판결에서는 김희옥 재판관과 함께 합헌 의견을 냈다.[2]
참조
[1]
뉴스
사시 합격 14위… 로펌 등서 맹활약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0-06-11
[2]
뉴스
‘Mr. 소수의견’ 조대현 헌법재판관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6-11
[3]
뉴스
가족별 호적 대신 1인1적 제도 제안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02-10-24
[4]
뉴스
헌법재판관에 내정된 조대현 변호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6-20
[5]
뉴스
주거침입 법정 선 조대현 전 헌법재판관…"하느님 뜻…"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4-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